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문화

한국인의 ‘부자지수’를 살펴보니-자산관리 ‘노력 요함’ 금융자산 높여야

명순영 기자
입력 : 
2019-03-27 14:42:30
수정 : 
2019-03-28 11:05:18

글자크기 설정

당신은 부자인가? 『이웃집 백만장자』에 소개된 계산식은 이렇다. ‘순자산(=총자산-부채)의 10배’를 ‘현재 나이×연간소득’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면 된다. 한국인의 부자지수는 어떨까?

사진설명
부자학 대가인 미국 토마스 스탠리 조지아주립대 교수와 월리엄 댄코 뉴욕주립대 교수는 몇 해 전 『이웃집 백만장자』라는 저서를 냈다. 20여 년간 부자에 대해 연구해온 그들은 1000명의 백만장자를 심층 취재해 성공 비결을 도출해냈다. 그들은 ‘PAW(막대한 부를 축적한 부자)’, ‘UAW(현재 부를 축적중인 사람)’, 그리고 ‘AAW(어느 정도 부를 축적한 부자)’라는 독특한 개념을 내놓았다. 또한 개개인 자산관리를 진단하는 공식, 이른바 ‘부자지수’를 개발했다. 얼마나 부자에 가까운지 파악하는 계산식은 이렇다. ‘순자산(=총자산-부채)의 10배’를 ‘현재 나이×연간소득’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면 된다. 예를 들어보자. 30세인 A씨는 순자산이 1억 원이고, 연봉 3000만 원을 받는다. 그의 자산현황을 부자지수 식에 대입하면 111%가 나온다. 그렇다면 한국인 평균에 대입해보자. 한국 가구주 평균 나이는 54.6세, 순자산은 1억9907만 원, 연간소득은 4457만 원이다. 이를 토대로 계산해보면 부자지수는 81.8%가 나온다.

토마스 스탠리 교수는 부자지수가 50% 이하면 ‘문제 있음’, 50~100%면 ‘노력 요함’, 100~150% ‘잘하는 편’, 150% 이상은 ‘아주 잘함’으로 판정했다. 따라서 A씨는 ‘잘하는 편’에 속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가구경제의 자산관리 지수는 100% 이하로 ‘노력이 필요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올해 대한민국이 1인당 소득(GNI) 3만 달러 시대를 열었다. 전 세계적으로 23개국밖에 없는, ‘부자 나라’를 상징하는 수치다. 그런데 왜 자산관리 점수는 엉망일까.

NH투자증권 100세 시대 연구소가 분석한 원인은 이렇다. 첫째, 나이가 들수록 자산 쏠림 현상이 심해진다. 이미 잘 알려졌지만 한국인의 부동산 사랑은 유별나다. 지난해 기준 가구자산 구성비를 보면 부동산이 75%에 달한다. 유동성이 떨어지는 부동산만 갖고 있고 금융자산이 없으니 노후가 불안한 것이다. 둘째 금융자산이 안전자산에만 쏠렸다. 자산을 늘리려면 어느 정도 ‘리스크(위험)’를 감내해야 하는데 한국인은 안전한 투자만을 강조한다. 셋째, 부채 비율이 높다. 지난해 금융부채 증가율은 8%로 2017년 대비 2.1%포인트가 늘었다. 대한민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지만 개별 가구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 그렇다면 어떻게 자산을 관리해야 ‘부자 지수’를 높일 수 있을까.

▶금융자산을 총 자산의 50%로 만들어야

전문가들은 연금 중심으로 금융자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맹목적인 부동산 자산 증대보다 은퇴시점까지 금융자산 비중을 총 자산 50%까지 늘릴 필요가 있다는 서명이다. 부동산을 고집하고 싶다면 ‘주택연금’ 전략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주택연금은 60세 이상 고령층이 소유 주택을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일정기간 연금을 받는 제도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19 업무계획에서 올해 주택연금 가입 연령을 60세 이하로 낮추고 가입 주택 가격 상한을 시가 9억 원에서 공시가 9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공시지가가 시가의 60~70%인 점을 고려하면 시가 9억~13억 원 주택 보유자가 주택연금을 가입할 수 있다. 주택연금 가입 폭이 크게 넓어진 것이다. 또한 안전성과 함께 수익성을 추구하며 금융자산을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개인별로 투자성향은 다 다르지만, 금융자산 규모가 크지 않은데 안전성 금융자산만으로 자산 증대를 기대하기는 힘들다는데 전문가 이견이 없다. 예를 들어 금융자산의 50% 정도를 예금과 적금, 보험 등 안정성 금융자사에 투자한다. 그리고 나머지 50% 가운데 국내 투자자산을 20%, 해외 투자자산을 30%로 구성하는 식이 바람직하다.

[글 명순영 매경이코노미 기자 사진 픽사베이]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672호 (19.04.02)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