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9 지진포럼]"지진대비 지자체 재정만으로는 한계… 중앙정부가 나서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3.20 17:39

수정 2019.03.20 18:15

축사·개막사
경북 두번의 지진 상흔 남아있어
도시·국가 차원 사회안전망 시급
[2019 지진포럼]"지진대비 지자체 재정만으로는 한계… 중앙정부가 나서야"

[2019 지진포럼]"지진대비 지자체 재정만으로는 한계… 중앙정부가 나서야"

경주, 포항 등 두 차례 대규모 지진 이후 정부·지자체가 지진 대응체계 마련에 총력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더욱 공고한 지진 안전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20일 '지진 사회안전망 구축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열린 '제3회 지진포럼' 개막사에서 전재호 파이낸셜뉴스 회장은 "우리는 더 이상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이미 알게 됐다"며 "지진과 같은 국가적 재난 대비를 위한 안전장치들도 개선해 왔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지 선진국들에 비해 사회 인프라 개선, 안전의식 등 부족한 점이 많은 게 현실"이라며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된다. 어느 날 지진의 공포가 현실로 우리를 덮쳤을 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장치가 마련돼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북 경주가 지역구인 김석기 국회의원(자유한국당)은 환영사에서 "일본의 1995년 고베 대지진, 2010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그 현장에 있었다.
도시 전체가 아수라장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만약 수도 서울에 이런 지진이 닥쳤을 때 과연 어떻게 될까 걱정이 앞섰다. 정부, 서울시 등에 지진에 대한 대비를 촉구하고 있다"며 "우리는 대한민국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말하지만 지진에 대한 현실인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권영진 대구광역시장도 "경주,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은 대구와 불과 50㎞ 떨어져 있어 진도 4 이상이 계측돼 많은 시민들이 불안을 느꼈다"며 대구시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권 시장은 지진위험 대비를 위해 "2017년 2월 지진방재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공공시설물의 내진보강 목표를 기존 계획 대비 20년 앞당긴 2025년에 완료할 것"이라며 "지진재난 전문가를 채용해 대구시 지진대응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부경대학교 등 학계와 '신속한 지진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시 자체 지진분석 체계와 상황전파 시스템 개발, 초소형 지진가속도계측기 시험운영 등 지진대응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도 차원의 지진방재 노력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나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이 지사는 "경북은 두 번의 지진으로 인해 아직도 상흔이 남아있다"며 이후 지진에 대비해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지진방재팀을 신설하고 5개년 종합 실행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열악한 지방재정으로는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국비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며 "현재 추세라면 내진보강 완료에 24년 이상이 걸린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김석진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도 "울산시는 2015년부터 유엔 산하 재해경감전략기구(UNISDR)에 방재안전도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재난대비는 개인에서 가정, 나아가 도시와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사회 구성원 모두가 공감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 김장욱 팀장 최수상 이유범 안태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