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 root, bin, proc, var, etc .... )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트리 ( Tree ) 구조를 하고 있으며, 명령어의 성격과 내용 및 사용 권한 등에 따라 디렉토리로 구분되어 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는 기본적인 구조를제외하고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파일 시스템 표준안 ( FSSTND, linux File System Standard )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표준안을 무조건 따르라는 강제력은 없지만 리눅스 파일 시스템 표준안을 따라 파일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파일들의 위치가 일관되게 유지되어 프로그램 작성, 포팅은 물론 시스템 관리도 쉬워지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배포판들이 이 표준안을 지키고 있다.

대부분의 리눅스는 FHS ( Filesystem Hierarchy Standard ) 표준 파일 시스템 계층을 많이 사용하고 같은 목적의 파일들을 같은 장소에 일관되게 모아 관리하므로 시스템 자원이나 프로그램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명령어, 파일 그리고 문서들이 제각기 독립된 장소에서 관리 된다.

디렉토리명

설명

/

 ● / (root), 가장 최상위 디렉토리

 ● 모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 포인터가 존재, 모든 파일 시스템의 이름 ( Name Space )이 존재

/root

 ● 시스템 관리자 (예 : root 사용자) 의 홈 디렉토리

/bin

 ● 기본 명령어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

/etc

 ● 각종 환경 설정에 연관된 파일들과 디렉토리들을 가진 디렉토리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서비스 구성 설정 파일, 사용자/그룹 정보 파일...

/boot

 ● 리눅스의 커널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mnt

 ● 외부 장치인 플로피 디스크, CD-ROM, Samba 등을 마운트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디렉토리

/usr

 ●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 공유할수 있는 디렉토리와 파일들

/lib

 ● 프로그램들의 각종 라이브러리들이 존재

/home

 ● 시스템 계정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

/dev

 ● 시스템의 각종 디바이스 목록

/proc

 ● /proc 디렉토리에는 시스템의 각종 프로세스

 ● 프로그램 정보 그리고 하드웨어적인 정보들이 저장

/var

 ●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변적인 파일들이 저장

 ● 스풀, 로그, 캐싱

/tmp

 ● 임시 파일들을 위한 디렉토리

지금 배우고 있는 과정인데 숙지를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